본문 바로가기

상식과 지식

성냥



파일:attachment/성냥/match_burning.jpg


나뭇개비 끝에 적린이나 염소산칼륨 등의 발화연소제를 바른 도구. 

성냥갑의 마찰면에는 유리가루, 규조토 등의 마찰제를 발라, 이 두 가지를 서로 마찰시켜서 불을 일으키는 발화용구이다.


부싯돌 등을 사용하던 인류에게 편하게 불씨를 사용할수 있게 만들어 준 물건이다. 

그 전에는 일단 불이 한번 꺼지면 다시 붙이기가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불당번 비슷하게 항상 사람이 1명 이상 불을 지켜봐야 했던 일이 잦았다.


저렴하고 편리한 라이터가 대중화되기 전에는 대부분의 흡연자들이 성냥으로 담배불을 붙였다. 

성냥이 드물어진 오늘날에도 성냥불 특유의 느낌이 좋아 성냥과 라이터가 있으면 성냥으로 불을 붙이는 골초들이 의외로 많다. 

실제로 느낌이 상당히 다르며, 특유의 성냥 타는 냄새가 담배냄새에 섞이는데 이걸 선호하는 것. 

물론 다 몸에 안좋다 소설 등의 작품에서도 '반드시 성냥으로만 담배불을 붙이는 캐릭터'의 클리셰가 종종 있다. 

이를테면 1Q84의 고마쓰, 명탐정코난 극장판 1기 시한장치의 마천루의 정형균 교수 등.


이 성냥타는 냄새는 이산화황인데 주로 싸구려 성냥에 많이 쓰는 화학 물질이다. 

따라서 담배 맛을 즐기는 사람이나 시가를 피는 사람들한테는 연기 망친다고 혐오의 대상이다. 

시가용으로 만드는 고급 성냥은 시가의 향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성냥불 냄새를 최대한 줄인다. 

게다가 성냥머리가 아니라 나무에서 연소하는 불을 붙이기 위해서 일부러 길이도 길게 만든다. 

이들은 라이터도 가스 냄새 난다고 안 쓰는 사람들이라...


물자가 귀하던 시절 혹은 근검절약을 언급할 때 성냥이 언급되기도 한다. 

워낙 물자가 귀해서 담배불을 붙일 때에도 성냥 하나에 세명 이상 불을 붙여야 했던 시기가 있다는 식으로 언급한다.



라이터가 대중화된 시대지만 전투식량, 비상식량, 서바이벌 킷 등에 들어가는 용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실용적인 면에서도 결코 없애기 힘든 물건이다.

라이터는 장기간 보관 시 가스나 기름이 날아가버리기 쉽고, 가격대비 성능 면에서 모든 전투식량 봉지에 라이터를 일일이 집어넣을 수도 없고, 

라이터와 달리 부싯깃 대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족으로 전투식량 등에 첨부된 성냥은 일반성냥과 달리 바람 속에서 켤 수 있고, 작은 방수포장에 들어있어 휴대성이 뛰어나다. 

특히 보통의 서바이벌 성냥보다도 더욱 불씨 살리기에 특화된 극한지역용 성냥도 존재하는데, Stormproof Match라는 위엄찬 이름에 걸맞게 일단 불이 붙으면 대놓고 바람을 불어도, 흙속에 파묻어도, 물속에 담가도 불씨가 꺼지지 않는 성능을 보여준다. 

어떤지 직접 한번보자. 이쪽은 자체 산화제가 혼입된 연료를 이용한 것으로, 주황색 부분까지는 공기가 없어도 잘 탄다.


종이성냥(matchbook)이란 것도 있는데, 나뭇개비 대신에 종이를 사용한 것이고 한 개비(?)씩 찢어서 사용하며 MRE에도 이것이 들어간다. 

이건 불 붙이는데 요령이 좀 필요한데, 일반 성냥과는 달리 나뭇개비가 아니라 힘이 없기 때문. 

종이성냥개피를 마찰면과 덮개 역할을 하는 면으로 감싸쥐고 당기는 것이 제일 쉽다.

미국에서는 종이성냥의 단가가 싸다는 이유로 판촉물등을 통해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종이성냥이 더 대중적이다.


기름성냥(oil match)라고 하는 좀 묘한 종류의 성냥도 있다. 

이건 심지와 부싯돌이 내장되어 있는 금속으로 된 성냥개비와 이를 보관하는 작은 금속제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는데, 

케이스에 라이터용 기름을 주입한 다음 금속 성냥개비를 꽂아넣어 두면 심지에 기름이 스며들게 되어 있다. 

이 뒤에 성냥개비를 뽑아들어 금속 케이스의 홈에 긁어 불꽃을 일으키면 성냥개비 내부의 심지에 불이 붙고 이것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원리 자체는 기름 라이터와 별 다를 바 없는 구조. 따라서 기름성냥은 이름은 성냥이지만 라이터 쪽에 좀 더 가깝다고 봐야 할 것이다.


발화용구가 현대의 일상생활에서 주로 사용될 때는 담배에 붙을 붙일 때인데, 

이 상황에서 라이터에 비해 별다른 이점이 없는 기름성냥은 그다지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2015년도에 일본의 한 개인방송에서 기름성냥을 리뷰하다가

집에 불을 내는 과정이 생방송으로 중계된 사건 이후 이런 물건이 있다는 게 좀 더 알려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 사건은 종류를 불문하고 발화용구를 취급할 때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환기시키는 영상의 사례로 기록되었다.












20세기에는 카페 등에서 성냥을 정(井)자로 겹쳐 탑을 쌓는 장면을 볼 수 있었다. 그 외에도 사소한 공작 등을 할 때 재료로 잘 쓰였다.






'상식과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가수스 Pegasus  (0) 2017.08.02
선반ㆍ밀링 기능사 필기 시험에 나오는것들  (0) 2017.08.02
한명회 인물됨과 일화  (0) 2017.05.08
한명회 평가  (0) 2017.05.08
대상포진 帶狀疱疹 Herpes Zoster, Shingles.  (0) 2017.05.01